AMD의 맥니 코르(Magny Cours)와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인터커넥트: 과거의 고코어 수 혁신

전문: https://old.chipsandcheese.com/2025/07/11/amds-magny-cours-and-hype...

원저자: chlamchowder | 작성일: 2025-07-11 15:55
사이트 내 게시일: 2025-07-11 22:16
이 기사는 AMD의 맥니 코르(Magny Cours)에 대한 회고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맥니 코르(Magny Cours)는 2010년 이전에 프로세서의 코어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된 옵테론(Opteron) 6000 시리즈의 일부입니다. 맥니 코르(Magny Cours) 칩은 본질적으로 두 개의 페넘 II X6 CPU 다이를 결합하여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링크를 통해 통신하며, 이는 수율을 향상시키고 검증 필요성을 줄입니다. 각 다이는 자체 메모리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어 비균일 메모리 접근(NUMA) 아키텍처를 생성하며, 이는 메모리 접근을 인터리브하여 성능을 개선합니다.

맥니 코르(Magny Cours)는 최대 6.4 GT/s로 작동하는 3세대 HT 링크를 특징으로 하며, 두 다이 간에 12.8 GB/s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모든 링크를 활용할 경우 대역폭은 19.2 GB/s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복잡한 구성, 특히 쿼드 소켓 시스템에서 지원하며, 대역폭 할당은 I/O 또는 소켓 간 통신 중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성능 지표에 따르면, 노드 간 메모리 지연(latency)은 약 120-130 ns로 인텔의 웨스트미어(Westmere) 아키텍처와 유사하지만, 원격 메모리 접근에 대한 패널티가 더 큽니다. 코어 간 지연도 주목할 만하며, 동일한 다이 내에서의 전송은 약 180 ns가 소요되지만, 다이 간 전송은 300 ns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대역폭은 쿼드 노드 설정으로 인해 복잡해지며, 노드 간 약 5 GB/s를 달성하지만 설계 제한으로 인해 이론적 최대치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단일 스레드 성능은 맥니 코르(Magny Cours)의 초점이 아니며, 옵테론 6180 SE는 2.5 GHz에서 작동하여 최신 아키텍처에 비해 낮은 SPEC CPU2017 점수를 기록합니다. 기사는 맥니 코르(Magny Cours)가 코어 수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단계였지만, 부족한 메모리 대역폭과 NUMA 인식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성 같은 문제에 직면했음을 결론짓습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맥니 코르(Magny Cours)에서 확립된 설계 원칙은 AMD의 향후 아키텍처, 특히 후속 세대에서 볼 수 있는 성공적인 다이 전략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반적으로 맥니 코르(Magny Cours) 아키텍처는 컴퓨팅 역사에서 중대한 시기에 프로세서 설계의 복잡성과 혁신을 보여주며, AMD의 CPU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진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 이 글은 old.chipsandcheese.com의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전체 기사의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CPU
태그: AMD (2622) CPU architecture (128) Server Processors (44) NUMA (22) performance analysis (15) core count (12) Opteron (2) historical technology (2) Magny Cours (1) HyperTransport (1)

댓글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