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각인 세라믹 저장 장치, 5,000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며 2030년까지 랙당 100페타바이트 목표 — 10배 성능 향상 및 100,000페타바이트도 Cerabyte의 로드맵에 포함

전문: https://www.tomshardware.com/pc-components/storage/laser-engraved-c...

원저자: | 작성일: 2025-07-05 11:53
사이트 내 게시일: 2025-07-05 22:30
독일의 스토리지 스타트업 Cerabyte가 뮌헨에서 열린 A3 Tech Live 컨퍼런스에서 혁신적인 세라믹 나노층 기반 저장 솔루션에 대한 야심찬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이 회사는 2030년까지 랙당 100페타바이트(PB)의 저장 용량을 달성하고, 전송 속도는 2GB/s에 이를 계획입니다. 2045년까지 Cerabyte는 레이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 용량을 랙당 100,000PB로 확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Cerabyte는 2025/26년까지 가동될 예정인 파일럿 생산 시스템을 마무리하고 있으며, Western Digital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원받고 있습니다. 초기 시스템은 랙당 1PB의 저장 용량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0MB/s로 다소 낮고, 첫 바이트까지의 시간(TTFB)은 90초입니다. 이러한 사양은 아카이빙 용도로는 충분할 수 있지만,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Cerabyte는 2030년까지 세 가지 세대에 걸쳐 저장 솔루션을 개선할 계획이며, 성능을 2,000MB/s로 10배 향상시키고 TTFB를 90초에서 단 10초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총 소유 비용(TCO)과 환경 영향을 중요시하며, 향후 5년 동안 TCO를 7,000~8,000달러에서 6~8달러로 줄이고, 전 세계 데이터 저장의 탄소 발자국을 2%에서 1.25%로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Cerabyte는 2045년까지 펨토초 레이저 쓰기 기술이 입자 빔 매트릭스 기술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쓰기 지점 크기를 300nm에서 3nm로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랙당 100,000PB라는 야심찬 목표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이 수치는 인상적이지만, 2025년까지 전체 인터넷을 아카이빙하기 위해서는 약 181,000,000PB의 저장 용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향후 데이터 성장의 규모를 나타냅니다.

* 이 글은 tomshardware.com의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전체 기사의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Storage
태그: data storage (106) Western Digital (64) data integrity (28) environmental impact (21) future technology (5) data transfer rates (4) Cerabyte (4) ceramic storage (1) nanotechnology (1)

댓글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 주세요.